기사 메일전송
서울 아파트 '사자>팔자'…매매수급지수 7주 만에 100 돌파
  • 연합뉴스
  • 등록 2025-09-12 15:16:29
기사수정

서울 아파트 '사자>팔자'…매매수급지수 7주 만에 100 돌파


성동·광진·마포구 등 인기지역 강세에 다시 기준선 넘어서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가 다시 기준선인 100을 넘어섰다. 전반적으로 매물이 많지 않은 가운데 사려는 사람이 늘어난 것이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0.2를 기록하며 7월 3주 차(100.1) 이후 7주 만에 기준선인 100을 돌파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높은 것은 시장에 집을 팔려는 사람보다 사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6월 4주차(6월23일자) 조사에서 104.2를 기록한 뒤 6·27 대출 규제 이후 하락하기 시작해 7월 4주차(7월21일자) 조사에선 기준선 밑으로(99.3) 떨어졌다.


그러나 이번 주 성동(0.20→0.27%)·광진(0.14→0.20%)·마포구(0.12→0.17%) 등 한강벨트 비규제 지역과 강남(0.09→0.15%), 서초·용산구(0.13→0.14%), 중구(0.11→0.16%) 등 인기지역의 가격 상승폭이 커지면서 수급지수도 다시 기준선을 넘었다.


한국부동산이 조사한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0.08%)보다 높은 0.09% 상승해 5주 만에 오름폭이 확대됐다.


권역별로는 5개 권역의 수급지수가 모두 지난주보다 상승한 가운데 종로·중구·용산구 등이 있는 도심권의 수급지수가 104.3으로 가장 높았고, 양천·영등포·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이 102.7로 뒤를 이었다.


또 강남 3구와 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이 102.0, 마포·서대문·은평구가 있는 서북권이 101.4를 기록했다.


동북권은 성동·광진구 한강변 아파트의 신고가 거래 증가에도 불구하고 노원·도봉·강북구 등 중저가 아파트 지역의 매수 심리 회복이 상대적으로 더디며 5대 권역 가운데 유일하게 99.5로 100 이하에 머물렀다.


마포구 아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6·27대책 이후 한동안 매매시장이 잠잠했는데 8월 들어서면서부터 문의가 늘고 거래가 늘고 있다"며 "전용 85㎡는 신고가 거래도 나타나고 있어 당분간 가격이 강세를 보일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유니세프-기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